Old Music Story

Reflection - Christina Aguilera(Mulan OST).1998 (가사, 영상, 숨겨진 이야기들)

stamen 2022. 1. 25. 17:38

Look at me

You may think you see

Who I really am

But you'll never know me

Every day It's as if I play a part

Now I see If I wear a mask

I can fool the world

But I cannot fool my heart

Who is that girl I see

Staring straight back at me?

When will my reflection show

Who I am inside?

I am now

In a world where

I have to hide my heart

And what I believe in

But somehow

I will show the world

What's inside my heart

And be loved for who I am

Who is that girl I see

Staring straight back at me?

Why is my reflection Someone I don't know?

Must I pretend that I'm

Someone else for all time?

When will my reflection show

Who I am inside?

There's a heart That must be free to fly

That burns with a need to know

The reason why

Why must we all conceal

What we think and how we feel?

Must there be a secret me

I'm forced to hide?

I won't pretend that I'm

Someone else for all time

When will my reflection show

Who I am inside?

When will my reflection show

Who I am inside?

https://youtu.be/bGcR7Lf1ys8

 

 

 

1998년 개봉한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뮬란(Mulan)의 주제곡으로, Matthew Wilder가 작곡,David Zippel이 작사를 맡아 만들었으며, 극중에서는 Lea Salonga가 노래를 불렀다. 팝 버전은 Christina Aguilera가 낙점되었으며 공교롭게도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의 첫 싱글이 되었다.

가사는 극 중에서 주인공인 Mulan이 주변에서 요구하는 당시의 여성상에 반하는 자신의 모습에 대해 독백하며 부르는 상당히 진보적이고 포스트 모더니즘적 방향성을 띄고 있다.

이 작품은 9천만 달러의 예산으로 제작되어 글로벌 성적 총 3억 5천만 달러의 수익을 올려서 좋은 흥행을 기록했다. 한국에서도 서울 관객 70만을 기록하며 대성공을 했다.

다만 디즈니로서는 약간의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었는데, 디즈니는 아마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시장경제에 맛을 본 중국을 거대한 신흥 소비 시장으로 판단했고, 중국이라는 거대한 소비 시장을 발빠르게 공략하기 위해서 이 작품을 제작했겠지만, 책상위서 서류만 가지고 세상을 판단하고 재단하던 당시 미국의 애널리스트들은 중국의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당시 중국인들은 월수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 극장에 가서 영화를 본다는 행위가 보편적이지 않았고, 99%의 사람들은 盗版 [dàobǎn](따오반)이라고 부르는 복제 비디오를 통해서 영화, 음악을 접하고 있었고, 이런 행위는 거의 2010년대까지 이어진다. 중국에서 대중들이 극장에서 영화를 즐기게 된 것은 거의 201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소비 수준이 상승하면서 보편화가 된다.

게다가 중국 정부는 당시 1년에 외국 영화를 단 10편만 상영하는 스크린쿼터제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디즈니가 달라이 라마의 전기 영화에 투자한 것에 대해 중국 정부는 심기가 불편했다. 다행히도 1년여간의 개봉 연기 끝에 '제한적'으로 개봉이 성사되었지만, 당연하게도 90년대의 중국은 결코 미디어의 소비시장이 아니었고, 결국 흥행은 좋지 못했다.

애니메이션 본편은 고대 중국 위진남북조시대의 작가 미상의 시가인 목란사(木蘭詞) 설화를 기본뼈대로 삼아 여러가지를 섞어서 제작되었는데,

기본 뼈대가 되는 설화의 주인공인 화목란(花木蘭)(간체: 花木兰)은 자신의 성별을 숨긴채 전쟁터에 종군하는 여성 무장이라는 골자를 지닌 설화로, 오랜 세월에 걸쳐 민간설화처럼 이어지면서 위진 남북조 시대에 이어진 수나라, 당나라, 송나라 시대까지 여러번 재창작 되었는데,

최초에 여자처럼 생간 남자에서 진짜 여자로 바뀐 주인공에게는 목란(木蘭)이라는 이름까지 생겼고, 또 시간이 흘러 설화에 살이 붙고 또 붙어가면서 화(花)씨 성이 부여된 것이다. (여러가지 시가에 따라서 그녀의 성씨는 주씨, 위씨, 심지어는 목란 자체가 성씨인 것도 있다.)

- 한국 개봉명인 "뮬란"(Mulan)은 참 재미있는것이, 주인공의 이름 화목란(花木蘭)은 표준중국어로는 Hua Mulan(화 무란)으로 발음되고, 광동어로는 Fa Muklan(파 묵란)이다. 그리고 본편 애니메이션에서 그녀의 성은 광동어 발음 & 이름은 표준중국어에 가까운 발음으로 읽어서 풀네임을 "Fa Mulan"(파무란)이라고 표기했다. 그런데 이것을 한국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파 뮬란'이라고 표기했다.

- 당시 월트 디즈니 코리아에서는 무슨 생각으로 '뮬란'이라는 국적 불명의 신조어를 탄생 시켰는지 의문인데, 아마도 한글로 '무란' 이라고 쓰기에는 촌스럽게 보이고 왠지 '뮤란'은 뭔가 좀 부족한듯 하고, "뮬란"이라고 하면 왠지 영어스럽고 있어보인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결정한 듯 하다.

cf : 2020년판 영화 Mulan에서는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삽입되었으며, 엔딩 크레딧에 1998년 오리지널 팝 버전을 불렀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가 다시 한번 새로운 버전으로 불렀다.

cf : 광동식 발음으로 하면 (Faa1 Muk6-laan4) 이 되는데, '묵'과 '목'의 중간값으로 '머오욱' 정도가 될 수 있다.

cf : 2020실사 영화 버전은 주인공인 유역비의 중국공산당에 대한 충성을 표현하는 발언들이 문제가 되면서 많은 구설수에 올랐고, COVID19까지 악제가 겹치면서 기획당시의 포부와 다르게 대실패를 하게된다.